중국에서는 위와 같이 심이 없는 화장지를 아주 쉽게 볼 수 있습니다.
가운데가 비어있고 휴지 대신 두꺼운 종이로 만들어진 심이 들어 있는 화장지만 보던
우리나라 사람이 보면 신기하게 생각할 수 있겠죠.
저도 첨엔 신기했습니다.
그런데 한국의 특허, 아이디어 카페에서는 아래와 같은 논의가 있었더군요.
화장지 안의 심이 불필요한 쓰레기이고 낭비라 불편하니 이게 없는 화장지를 만들면
어떻겠냐는 아이디어가 나왔고 만장일치로 좋다는 답글들이 달렸습니다.
아마 저 분들은 중국에 가보시지 못했었나봅니다ㅎㅎ
중국은 우리나라 같이 심이 있는 화장지도 팔고 심이 없는 화장지도 팝니다.
아래는 제가 최근에 중국 슈퍼의 화장지 코너에서 찍은 사진입니다.
큰 화장지에 안까지 단단하게 휴지로만 감겨 있습니다.
정말 쓰레기가 안생겨도 되고.. 좋겠네요.
한국에서 사용하는 심 있는 화장지도 당연히 있습니다.
한국에는 단 한가지 종류의 화장지만 팔지만
중국에서는 심있는거, 없는거, 폭이 좁은거, 넓은거 다 있습니다.
아무래도 중국은 시장이 크다 보니 여러 요구들이 있고
그래서 무엇이든 다양한 상품의 개발과 출시가 가능한 것 같습니다.
한국은 그렇지 않죠. 가장 잘 되는거 하나만 팔아야 하는 구조 입니다.
과자도 잘되는거 생기면 다른 제과업체도 다 그것만 따라서 만들어 팔죠.
시장이 협소하다보니 생산자도, 소비자도 선택의 폭이 좁다는 점이 아쉽습니다.
심 있는 화장지는 우리가 흔히 보는거니 주로 심 없는 화장지 위주로 사진을 찍었습니다.
다양한 재질과 촉감, 폭의 화장지들이 있습니다.
중국화장지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싸구려는 안좋고 비싼건 좋습니다ㅎㅎ
그럼 심 없는 화장지는 화장실에 어떻게 비치할까요?
한 가정집의 화장실을 봤습니다.
화장지가 이렇게 들어 있네요.
심 없는 화장지가 들어있을 줄 알았는데..
사진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심 있는 화장지가 들어 있네요.
이 디자인의 두루마리 휴지 홀더는 심있는 화장지와 심없는 화장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생겼군요.
톱니모양으로 되어 있어 휴지가 잘 끊어지게 되어 있군요.
우리나라 점보 화장지 통도 이런 원리로 되어 있죠.
이상 중국의 심없는 화장지 이야기 였습니다^^
'기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니 NP-FW50 배터리 제조년월 알아보기 (2) | 2016.11.24 |
---|---|
헬로모바일 무제한요금제가 3만원이라 신청ㅎ (0) | 2016.11.19 |
'우려되는 대한민국' 이메일 경찰청에 전화로 확인완료 (0) | 2016.11.11 |
금에 있는 585, 750, 999 숫자는 무슨 뜻? (0) | 2016.11.10 |
중고폰 거래시 필수! 선택약정 조회하기 (0) | 2016.11.04 |
유심 크기가 안맞으면 잘라서 쓰세요^^ (4) | 2016.11.04 |
김영란법. 감사합니다! 국민들의 반응 (0) | 2016.11.01 |
중국에서 파는 오리온 초코파이와 친구들 (0) | 2016.10.31 |